환자 개개인에 맞춘 최적의 항암 솔루션
소화기관의 제일 끝에 있는 결장과 직장에 서 발생하는 암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암중 하나 입니다.

대장암의 원인
대장암은 유전적요인이 많이 밝혀진 암중 하나로 암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밝혀진 것이 많이 있습니다. 또 대장암은 특이하게도 대장에 생기는 양성 종양인 선종을 거쳐 암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95%에 달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대장내시경을 하여 용종을 제거하면 암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대장암의 주요 원인은 유전적 요인, 잘못된 식습관, 비만 및 운동 부족, 흡연과 음주, 그리고 염증성 장 질환 등이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
가족 중 대장암 환자가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며, 특히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과 가족성 용종증이 있는 경우 위험이 더욱 높아집니다. 대표적인 유전자 변이로는 KRAS, BRAF, APC, TP53, MMR(Mismatch Repair) 유전자 등이 있습니다
KRAS 변이
대장암 환자의 약 50%에서 발견되며,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반응이 낮아 치료 전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BRAF 변이
특히 BRAF V600E 변이는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약 4.7%에서 발견됩니다.
APC 변이
대장암의 초기 발생과 관련된 종양 억제 유전자로, APC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대장암의 진행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TP53 변이
종양 억제 유전자로,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암세포의 성장과 생존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MMR 유전자 변이
MSH2, MLH1, PMS2 등의 유전자 변이가 발생하면 미세위성 불안정(MSI-H) 상태가 되어 Lynch 증후군과 관련된
유전성 대장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 변이는 대장암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최근에는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검사를 통해
환자의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잘못된 식습관
붉은 고기(소고기, 돼지고기 등)와 가공육(햄, 소시지, 베이컨 등)을 과다 섭취하면 대장암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섬유질이 부족한 식단도 대장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비만 및 운동 부족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장 점막을 자극하여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대장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흡연과 음주
흡연은 대장암 발생 위험을 2~3배 증가시키며, 과도한 음주도 대장 점막을 손상시켜 암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대장암의 증상은 초기에는 뚜렷하지 않지만, 암이 진행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배변 습관의 변화
변비와 설사가 반복되거나 배변 후에도 잔변감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혈변 또는 점액변
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끈적한 점액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복부 통증 및 팽만감
지속적인 복부 불편감과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체중 감소
특별한 이유 없이 체중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소화불량 및 식욕부진
음식 섭취가 어려워지고 소화가 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극심한 피로감
만성적인 피로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대장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합니다.
특히 40세 이상이라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주기적으로 받는 것이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장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 성공률이 높아지므로,
위와 같은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장암의 치료법은 진행 단계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표적치료, 면역요법 등이 사용됩니다.
대장암 치료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면역항암제, 표적치료제,
복강경 및 로봇 수술, 그리고 액체 생검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면역항암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법으로, 기존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특히 PD-1 억제제가 전이성 대장암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표적치료제
암세포의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공격하는 방식 으로, 세툭시맙(Cetuximab)과 베바시주맙(Bevacizumab) 등이 널리 사용됩니다.
복강경 수술
최소 침습 수술 기법이 발전하면서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합병증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특히 로봇 수술은 정밀한 절제가 가능하여 치료 성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액체 생검
혈액을 통해 암세포의 유전적 변화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기존 조직 생검보다 덜 침습적이며 반복 검사가 용이합니다. 이를 통해 치료 방향을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식이치료로 케어합니다
암환자들의 회복과 치료 효과 증대에 중요한 치료 과정 중 하나입니다. 항암치료를 받는 동안 영양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암과 싸우기 위해서는 우리 몸에 충분한 영양이 뒷받침 돼야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적극적으로 활발히 암과 싸워 없앨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암은 우리 몸의 영양소를 우선적으로 빼앗아 가기 때문에 정상세포는 항상 영양 부족 상태에 빠져 있게 됩니다.
항상 충분한 영양 섭취가 중요하고 특히 부족한 영양소가 있으면 반드시 보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환자 개개인의 영양상태를 면밀히 체크하고 그에 맞춘 맞춤형 식이치료 프로그램으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개인맞춤형 식이 계획
항암치료 중 권장 식품
치료 중 피해야 할 식품
환경치료로 함께합니다
회복증인 암환자는 면역기능이 최상의 상태에 있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항상 편안하고 쾌적한 치료 환경이 필요합니다.
쾌적한 병실
자연 친화적 환경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